본문 바로가기
전해주고 싶은 팁

노인 요양시설 입소 비용 얼마여야 들어갈수 있을까?

by 스나트레 2025. 3. 15.
반응형

 

부모님을 요양시설에 모셔야 하는데, 비용이 얼마나 들까?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내 노후를 대비해 요양시설 준비를 해야할까?

노인 요양시설 입소 비용에 대해 알려 드릴게요

 


혹시 이 중에 하나가 고민이시지 않으신가요?
저도 부모님을 모시는 입장에서 같이 살아가야하는 부모님이 거동이 힘들어지시면 어떻게할지
그리고 나의 노후는 어떨지 일이 힘들고 지칠때면 한번씩 고민이 들어요.
저같은 분들을 위해 합리적인 선택을 어떻게 할지 알아보았습니다.



노인 요양시설, 꼭 알아두어야할까?


요양시설 입소를 선택지로 두어야하는 이유

  • 부모님의 건강이 악화되면 24시간의 돌봄이 필요함
  • 직장생활로 인해 직접간병이 어려움

 


노인 요양시설 입소 비용, 얼마나 들까?


1. 국공립 요양시설 (월 30~90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장기요양보험 혜택 지원
  • 개인 부담금 15~20% 수준
  • 비교적 저렴하지만 입소 대기 기간이 길 수 있음

2. 민간 요양시설 (월 150~400만원)

  • 일반 요양병원, 실버타운, 프리미엄 요양시설 포함
  • 개인부담이 크지만 다양한 서비스 제공 가능

 

민간 요양시설은 일반 요양병원과 실버타운, 프리미엄 요양시설로 나뉘어요.
일반 요양병원이라면 월 100~200만원으로 의료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요.
즉, 간병을 24시간 해줄곳을 찾는다면 적합해요.
실버타운은 200~400만원으로 여기에 환경적으로 우수하고 문화생활을 할수 있도록 해준답니다.
즉 적합한 온도와 습도등 춥지않고 덥지않게 관리해주며 오락을 도와주는 수준이에요.
프리미엄이라면 월 400만원 이상의 부담이 큰데요. 이정도라면 주거수준은 최고이며 항시 진료할 사람이 대기하는 등 최고급의 서비스 수준을 제공합니다.


요양시설 입소 비용, 국가 지원받는 방법

 

장기요양보험 혜택활용

  • 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최대 85%까지 비용지원
  • 1~5등급 판정을 받으면 지원 가능
  • 신청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문의


기초생활수급자라면 추가 지원 가능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입소비, 간병비 지원
지자체 복지센터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

장기 요양보험을 활용하면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어요!


부모님 요양시설, 어느시기엔 고민해야 할까?


이런 경우에 입소 고려가 필요해요.

  • 인지 기능 저하(치매 등)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 자녀가 간병할 시간이 부족한 경우
  • 반복적인 낙상, 병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

 

요양원에서 간호를 받으세요



무조건 적으로 요양시설이 정답은 아닙니다.
재가 요양 서비스로 방문하시는 분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하세요.


50대라면 노후 요양 계획 지금부터!


자녀에게 도움 받을 수 있는 시대는 지났어요 부담주지 않으려면 미리 대비해야해요.
실버타운, 노후형 아파트 등 선택지는 다양해요.
어려움을 겪고 지내는 것보다 나와 같은 사람들과 나를 도와줄 사람들이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이 나을 수도 있어요.
장기요양보험 적용 여부를 먼저 확인해 준비한다면 크게 부담을 줄일 수 있을거에요.


이렇게 요양보호 시설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생각보다 비용이 커서 흠칫 놀라게 되네요.
하지만 평균 노후 생활비를 생각하면 병원비 포함 내 생활전반적 관리를 다 해주니 미리 알아두고 자산점검을 한번 하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나이들수록 챙겨주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